최근 한 연예인이 동료 연예인으로부터 1천만 원의 축의금을 받았다는 방송을 봤는데요.😲 문득 축의금은 세금 문제가 없을까 궁금하더라고요. 축의금, 어디까지 괜찮을까요?
증여세란?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 그 재산을 받은 자가 내는 세금을 말해요. 증여세는 꼭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는다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결혼식 축의금도 증여에 해당할까요?
현행 세무법에 의하면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범위의 축의금은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부모님 친분에 의해 들어온 축의금까지 모두 부모님으로부터 받는 경우라면 증여세 부과 대상이 될 수는 있어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우 드문 일입니다.
축의금 명목으로 증여를 한다?
축의금으로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여세를 회피하기 위해 실제로 축의금을 받지 않았는데도 부모의 재산을 축의금 명목으로 결혼하는 자녀에게 주는 것이죠. 이런 경우 엄연한 세법 위반으로 추후에라도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 세무사전: 경비율이란?
경비율은 "번 돈 중에 이만큼은 경비로 쓰셨겠네요"라고 국세청에서 임의로 인정해 주는 비율입니다. 이는 실제 지출한 경비를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 업종별 평균적인 경비 수준을 반영하여 간편하게 소득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인데요. 경비율은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로 나뉘어요.